
운영시간
📍 장소 : 아산시 평생학습관 (여성회관 아산아트홀)
⏰ 일 13:00, 15:00
콘텐츠
✅ 기획의도
현대의 어린이 대상 공연은 재해석과 파격으로 대체된다. 디즈니의 실사 영화는 인어공주, 백설공주와 같은 백인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기존의 들을 파괴하며 제 3세계의 배우를 내세우는 것으로 100여년 이상 이어져 온 방향성을 수정하는 보를 보여 왔다. 그러나 이때 가능 수준을 벗어난 수정과 재해석, 관객들의 니즈를 무시한 결과는 철저한 외면과 흥행실패로 이어진다는 공식을 스스로 입증하며 향후 계획된 영화 실사화의 방향성을 재수정하게 되었다. <신데셀라)는 이미 신데렐라 콤플렉스' 라는 자성을 수반하지 않은 의존적 성향의 여성을 사회적 증상으로 만들만큼 그 내용에 있어 구시대적인 여성성을 표현한다. 자신의 문제부도회피에 가고 싶지만 집안일을
마쳐야만 할 수 있다 이는 비슷한 시대의 다른 문화권에도 우수하게 존재한다. 한국의 경취판쥐전을 비롯해 4대 문화 발자의 구전동화에도 비슷한 포맷을 가진 동화가 있다 타인의 도용으로만 해결해가는 모습이 자칫 수동적 여성상이 가장 가치 있는 모습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오해를 불러 수 있지만, 이 둘이 궁극적 목표 교훈은 다른 곳에 있다고 판단한 대에서 이 공연의 기획이 시작 되었다.
현대의 진취적 여성성과 개개인으로 저희 해제되어 개인주의를 표방하는 이르바 원자가족 시대는 최초의 신라에서 보여주는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쓰자 아버지 그리워하며 집안일, 궂은일을 민아하는 신내과와 자신의 끝을 신분상승 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계모, 그것과는 별개로 자신들의 니즈만 충족하는 데에 급급한 아나스타샤와 드리벨라는 그림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지키려는 신태벨라의 실명, 신에벨라는 재투성이 소녀' 라는 뜻이며 이는 계모와 언니들이 변명처럼 부르는 이름이다)의 모습이 현내의 가족에게 진짜 가족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 하는 물음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등 사회적 관심들에 대하여 관객들에게 오해와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기획하였다.
✅시놉시스
어머니를 여의고 재혼한 아버지와 새어머니, 그리고 새어머니의 딸인 아나스타샤와 드러켈라까지 다섯 식구가 살던 엘라의 집은 아버지마저 쓸이가시면서 그야말로 엘라만 외없이가 되고 만다. 엘라는 막내지만 힘든 집안일을 도맡아하여 늘 재투성이인 채로 지낸다. 그런 엘라의 별명은 '제투성이 소녀' 라는 뜻의 '신데렐라 하루하루 희망을 잃지 않으며 지내지만 날이 갈수록 새언니들과 새엄마의 횡포는 심해지기만 한다. 그러던 중 신부감을 찾는 왕자의 무도회가 열리고 새엄마와 새언니들은 무도회에 가지만 엘라는 집안일로 인해 무도회 구경조차 가지 못한다. 슬퍼 무는 엘라에게 요정할머니가 나타나 마법으로 예쁜 드레스와 마차를 만들어 주고 무도회에 보내준다. 그러나 이 모든 마법은 자정이 지나면 원래대로 돌아오게 되고, 열두사를 넘지 않도록 당부한다. 무도회장에서 왕자를 만난 엘라는 왕자와 춤을 추고 한 눈에 엘라의 아름다운 모습에 반한 참자는 엘라를 신부로 맞을 결심을 하지만 엘라의 이름도 사는 곳도 모르기에 온 나라며 엘라를 찾아 오라는 명을 내라는데...